캐나다 이민

캐나다 이민 후 직업,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

시험영어뽀개기 2022. 8. 3. 09:12

영주권을 받았다고 해서 무조건 캐나다 이민 성공이 보장되지는 않습니다. 이후에 캐나다 거주하는 사회 일원으로써 직업을 가지고 경제활동을 해야 합니다. 한국에서 하던 일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 가장 쉽게 생각해 볼 수 있는 직업이 바로 한국어교원입니다. 한국어 교원이 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 

 

 

전 세계적으로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성공적으로 퍼지고 있습니다. 해외에서 한국어 수요 또한 늘고 있습니다. 물론, 자격증이 없어도 한국어를 가르칠 수는 있습니다. 하지만, 캐나다 이민을 가기 전에 한국에서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을 이수하면 더 유리하겠죠. 

 

 

1.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이란

한국어 교원 양성과정은 국립국어원에서 승인,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. 초등학교 및 중, 고등학교 국어 정교사 자격증과는 별개의 자격증입니다. 1급~3급까지 총 3가지 급수가 있으며, 맨 처음 3급을 따고 난 후에 경력에 따라 2급, 1급으로 승급 가능합니다. 승급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. 

 

https://kteacher.korean.go.kr/guide/scr/gradeType

 

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원자격

’05. 7. 28. 이후 대학(원) 등 입학자 및 양성과정 이수자 조건 급종 번호 대학(원)에 입학하여 한국어교육 분야를 주전공 또는 복수전공으로 하여 [별표 1]에 따른 영역별 필수이수학점을 이수한

kteacher.korean.go.kr

 

※ 한국어 교원 1급 & 2급 승급 기준 ※

급수 조건
1급 한국어 교원 자격증 2급 취득 + 한국어 교육 경력 5년 이상 + 강의 시수 2,000시간 이상
2급 '학위과정'으로 한국어 교원 자격증 3급 취득 + 한국어 교육 경력 3년 + 강의 시수 1,200시간 이상
2급 '양성과정, 한국어교육능력인증시험, 800시간 경력'으로 한국어 교원 3급 취득 + 한국어 교육 경력 5년 + 강의 시수 2,000시간 이상

위 표에 따르면 비 전공자의 경우, 3급 취득 후에 최소 5년의 경력이 있어야 2급으로 승급이 가능합니다. 생각보다 2급 혹은 1급으로 승급하려면 거의 10년에 가까운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. 그렇다면 현실적으로 목표는 한국어 교원 3급 취득으로 해야 할 것 같습니다. 

 

2. 한국어 교원 3급 취득 방법 

한국어 교육 분야 학위 취득을 하신 분들은 전공 혹은 부전공에 따라서 2급 혹은 3급을 거의 자동적으로 따게 됩니다. 여기서는 비 전공자가 한국어 교원 3급을 따는 방법만 알아보겠습니다. 해당 분야 비 전공자는 120시간에 해당하는 양성과정을 이수하고 한국어 교육능력 검정시험을 합격하면 됩니다. 

 

 

 

3.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종류 

요즘은 온라인 양성과정이 많이 개설되어있습니다. 검색해 보면 많은 곳이 나옵니다. 가격은 70만 원대~120만 원대까지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. 예를 들어 한 군데만 확인해 보겠습니다. 연세대학교 온라인 한국어교원양성과정입니다. 관련 웹사이트는 아래를 방문하시면 됩니다. 

 

http://ysitkli.yonsei.ac.kr/hp/crse/crseIntro003.do?ysitkliMenuNo=crseIntro003 

 

연세대학교 한국어교사연수소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.

온라인한국어교원양성과정 - 과정안내 INSTITUTE FOR TRAINING KOREAN LANGUAGE INSTRUCTORS FAQ 온라인접수 연수일정 [2022년 연수과정] 일정내용 제34기 제35기 제36기 제37기 원서접수 2022.1. 3(월) ~ 2. 4(금) 4. 4(

ysitkli.yonsei.ac.kr

 

연세대학교 온라인 한국어교원양성과정의 경우 전체 12주 과정으로 비용은 79만 원입니다. 1년에 4번의 모집을 하고 있습니다. 본인이 원하는 시기에 맞춰서 지원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 총 3개월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미리 과정 수료를 해두고 나중에 시간이 좀 더 있을 때 한국어 능력 검정시험을 치면 좋겠네요.